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장필수의 어장관리] 아쿠아리움 속 그 많은 물은 어디서 왔을까?
[헤럴드경제=장필수 기자] [편집자 주] 누구나 한 번쯤, 수조관 유리에 코를 박고 자유롭게 유영하는 물고기를 바라본 기억을 갖고 있을 겁니다. 살면서 한번은 찾게 되는 장소인 아쿠아리움. 그런데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요.
모니터 속에서만 봤던 해양동물과 형형색색의 열대어가 시선을 끌지만, 그 순간뿐입니다. 꼬집어 말할 순 없지만, 출구로 나서면서 알 수 없는 허전함을 느끼곤 합니다.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우와~와~” 같은 감탄사 너머의 아쿠아리움을 알아보는 연재물을 마련했습니다. 첫 번째 주제는 모든 생물에게 생명과도 같은 존재인 ‘’ 입니다.
 


#. 횟집에서 쓰는 물과 아쿠아리움 속 물은 같을까.

정답부터 말씀드리면,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수도권에 있는 횟집과 아쿠아리움 모두 사용하는 물은 인천 바닷물입니다. 횟집의 횟감도, 아쿠아리움의 해양생물도 엄밀히 말하면 인천 바닷물 속에서 살고 있는 셈이죠. 이 두 곳뿐만 아니라, 수도권 지역에 한해 해수가 필요한 곳은 모두 인천 바닷물을 배달받아 사용하고 있습니다. 정부로 허가받은 해수 전문 공급 업체가 매일 신선한 바닷물을 여과해 각 업체에 공급하고 있지요. 
매일 새벽 5시 해수 운반 차량 1대가 63스퀘어(빌딩)을 찾는다. 인천 바다에서 공수해 여과된 28톤 바닷물이 아쿠아플라넷63에 공급된다.

한화 아쿠아플라넷63의 경우 과거 직접 바닷물을 퍼오기도 했지만, 현재는 매일 약 28톤(해수 운반차량 1대분)에 달하는 해수를 업체를 통해 공급받고 있습니다. 가격은 1톤당 1만 원이 조금 넘는 선이라고 합니다. 참고로 서울 노량진 수산시장은 하루에 약 20대에 달하는 해수 운반 차량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있다고 하네요.

아쿠아리움에는 해양 생물만 있는 게 아닙니다. 담수 생물도 있기에 민물이 반드시 필요한데요. 아쿠아플라넷63은 서울시 수돗물인 아리수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물론 아리수를 그대로 사용하는 건 아닙니다. 수조별 정해진 수질 관리 기준에 맞춰 여과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인공 해수 제조에 핵심인 인공 해수염. 만들 수 있는 업체도 많지 않아, 항상 고가로 거래된다. 담수 1톤당 한 통을 다 써야만 하는데, 가격이 상당하다.

마지막으로 아쿠아리움에서 특별히 관리하는 가장 비싼 물인 ‘인공 해수’가 있습니다. 쉽게 말해 담수에 인공 해수염을 풀어서 만든 인공 바닷물입니다. 사람이 먹는 천일염과 같은 일반적인 소금을 푸는 게 아니라, 전문 업체가 생물별로 최적화된 요소를 넣어 제조한 일종의 영양 소금입니다. 여과된 인천 바닷물이 1톤당 1만 원이 조금 넘지만, 인공해수는 1톤당 최소 10~15만 원이라고 합니다.



#. 바닷물과 수돗물이 수조로 투입되기까지

횟집 물과 아쿠아리움 물이 모두 인천 바닷물이긴 하지만, 아쿠아리움은 이를 그대로 사용하진 않습니다. 해수 전문 공급 업체로부터 공급받은 바닷물을 여러 번 여과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우리나라 아쿠아리움의 해수 여과 방식은 대동소이한데, 아쿠아플라넷63은 바닷물을 해수처리수조(185톤)에 모으고 나서 프로틴 스키머를 이용해 암모니아와 같은 질소화합물과 바다 생물 배설물 등 부유물질을 걸러내고 오존 살균 처리를 마친 뒤 각 수조에 공급합니다. 
암모니아와 같은 질소화합물을 걸러내는 장비인 프로틴 스키머(왼쪽). 담수 내 불순물을 걸러내는 모래여과기(오른쪽)는 수조별로 배치돼 있다.

환경을 생각해야 하는 시대인 만큼, 물갈이로 버려지는 해수를 재사용하기도 하는데요. 다시 사용하는 해수는 중수라고 합니다. 중수 또한 다시 각 수조에 공급되기 전 프로틴 스키머와 오존 살균 처리 과정을 거칩니다. 담수는 수돗물 속의 염소 성분을 제거한 후 사용합니다.

인공 해수는 자연으로부터 공급받는 물이 아니기 때문에 제조 방식도 다릅니다. 인공 해수염을 풀기 전 담수도 정수 과정을 거칩니다. 기존 담수 생물을 위한 물이 모래여과기를 거치는 정도라면, 인공 해수에 쓰이는 담수는 증류수에 가까운, 즉 완벽한 H20의 수준이어야 합니다. 
백야드(수족관 뒤)에 설치된 인공 해수 보관 수조. 3톤 규모로 일주일이면 다 사용한다. 일반 담수를 정수기에 4번이나 거친 뒤 인공 해수염을 타서 만든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염분이 없는 물에 인공 해수염을 직접 풀어 산소와 같이 생물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기체를 주입해 제조합니다.

인공 해수염 가격은 제품마다 다른데, 전반적으로 가격이 비싸 여러 아쿠아리움에서도 사용 여부를 고민하는 품목 중 하나입니다.



#. 특별 수질 관리를 받는 수조는 따로 있다.

비용 부담으로 인공 해수 사용이 점점 줄어드는 추세지만, 반드시 사용해야만 하는 수조가 있습니다. 바꿔 말하면 특별 관리가 들어가야만 하는 수조이고 관람객 입장에선 그냥 지나치면 안 되는 명물인 셈이죠.

아쿠아플라넷63에서 인공 해수가 투입되는 수조는 단 2곳으로 규모는 해수량 기준 각각 21톤과 1톤입니다. 이 두 곳에는 다른 수조와 달리 산호와 무척추동물(말미잘 등)이 많은데, 인공 해수를 넣어야만 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아쿠아플라넷63이 보유한 21톤 산호 수조. 전담 직원이 3년간 관리를 맡아오고 있다. 이 수조에 있는 생물은 특급 대우?를 받는다.

산호와 말미잘은 서식지 환경이 변하면 쉽게 죽는 생물입니다. 그래서 예전 서식지의 환경과 최대한 비슷한 수준을 갖추고 수조 내부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게 중요합니다.

조건은 까다롭습니다. 보통 수조의 수질 관리 기준이 8~9개라면, 이 두 곳의 수질 관리 기준은 13개에 달합니다. 수온, pH, 염분도와 같은 기본적인 요소부터 칼슘, 마그네슘, 질산염 등 미량원소까지 주기적으로 점검해야 합니다. 
말미잘과 흰동가리는 공생관계인데, 말미잘은 흰동가리에게 안식처를 제공하고 흰동가리는 말미잘을 위한 먹이를 유인하는 역할을 한다.

함께 생활하는 생물의 배설물이 많아서도 안 되고 주변 미세 공생 조류의 광합성을 위해 수조 조명도 밝아야 합니다. 또 미세 조류도 필요해 수조 모퉁이에는 모터가 물살을 만들어줘야만 합니다. 생물이 아프다고 해서 함부로 해수에 약을 풀 수도 없습니다. 전담 직원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이렇게나 까다로운데, 아쿠아플라넷63은 우리나라에서 최대 규모의 산초 수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아쉽게도 정성을 쏟는 시간에 비해 관람객들의 관심을 받지는 못한다고 하네요. 아래 산호 수조의 구석구석을 담은 영상을 첨부했습니다. 잘 살펴보시고 지금껏 산호 수조를 그냥 지나치셨다면, 이번 주말 다시 한번 찾아보시는 건 어떨까요.



essentia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